4일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법무부에서 제출받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공소장에는 여 사령관과 홍 전 차장이 이 같이 대화한 통화 내용이 적시됐다.
계엄 선포 직후인 지난달 3일 오후 11시 6분쯤 홍 전 차장으로부터 전화를 받은 여 사령관은 "선배님 이걸 도와주세요"라며 "저희 체포조가 나왔는데 (체포 대상자) 소재 파악이 안 돼요. 명단 불러드릴게요"라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다.
홍 전 차장은 계엄이 선포된 후 28분 지나 윤 대통령으로부터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 대공수사권 줄 테니까 우선 방첩사를 도와"라고 지시받은 뒤 여 사령관에게 먼저 전화를 한 것으로 검찰은 파악했다.
당시 여 사령관은 김 전 장관에게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등 주요 인사 10여명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받은 뒤 경찰과 국방부 조사본부에 수사 인력 지원을 요청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였다.
그러던 중 홍 전 차장으로부터 전화가 오자 국정원에 체포 대상인 주요 인사의 소재 파악을 부탁한 것이다.
당초 10명이 넘었던 체포 명단은 국회로 의원들이 모여 비상계엄 해제요구안 가결이 임박해지면서 대폭 줄었다. 김 전 장관이 가결을 저지하려 이 대표, 한 전 대표, 우 의장을 우선 체포하라고 지시했기 때문이다.
여 사령관이 명령을 휘하 병력에 전달하면서 '포승줄·수갑 이용'과 같은 구체적 지침도 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 후략 ..
수방사, 쏘카에 '북한군' 언급하며 "위치추적 되나" 공문 (0) | 2025.01.04 |
---|---|
정보사, 계엄 전 '작두 재단기' 구매.. "선관위 직원 위협용" (1) | 2025.01.04 |
계엄 당시 실탄 없었다는 尹.. 검찰은 "5만 7천여 발 동원" (0) | 2025.01.04 |
김용현 공소장에 '대통령' 141회 등장.. "공모해 국헌문란 폭동" (0) | 2025.01.04 |
소환도 거부한 경호처장, '통제 불능'된 '내란수비대' (0)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