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사건 관련 김건희 여사의 휴대전화 등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청구했다 기각됐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이 사건 관련 영장을 청구한 사실 자체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MBC취재 결과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는 지난 2020년 11월과 2021년 5월 두 차례에 걸쳐 김 여사의 휴대전화와 사무실 등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청구했지만, 이는 도이치 사건이 아닌 코바나컨텐츠 협찬 의혹에 대한 영장이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당시 영장 청구서에 적시된 혐의도 변호사법 위반과 부정청탁금지법 위반 등 코바나컨텐츠 관련 내용만 있었을 뿐, 도이치 주가조작 사건과 관련된 '자본시장법 위반'은 빠져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 후략 ..
조달청 LH아파트 입찰 23건 중 15건 부실 시공업체가 낙찰 (1) | 2024.10.18 |
---|---|
"움츠린 몸, 벌어진 입".. '하마스 수장' 사살 현장 공개한 이스라엘 (1) | 2024.10.18 |
'YTN 민영화' 소송 등에 영향 가능성.. 이진숙 복귀해도 타격 불가피? (2) | 2024.10.18 |
'더 세진' 김건희 특검법.. '명태균 의혹' 추가해 세 번째 발의 (2) | 2024.10.18 |
김 여사에 불리한 증거엔 "모른다" "안 물어봤다" (1) | 2024.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