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과 관세 협상을 주도했던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올해 안에 첫 사업이 결정될 것”이라며 세부 일정을 못박았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이 열린 28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보도된 인터뷰에서 5500억달러 투자처와 관련해 “미·일 경제 안보를 위한 공동 투자로 제 1호 사업은 전력 분야”라고 말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발전 등에 따른 전력 수요를 충당할 미국 발전시설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트럼프 정부가 한국·일본·대만 등에 투자를 압박해온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도 초기 투자처로 거론된다. 미국은 개발 자금을 확보하고, 일본은 만성적 공급 부족을 겪는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확보한다는 것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투자액 절반 이상이 전력·에너지에 쓰일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부활’을 선언했던 조선, 반도체 분야뿐 아니라 앞서 미·일이 작성한 관세협상 양해각서(MOU)에 명시된 금속, 인공지능, 양자 컴퓨팅 등 경제안보 관련 분야도 유력한 후보군이다.
일본 자금이 미국 대통령 뜻대로 쓰일 것이란 우려에 기업들이 주저하자 미국 쪽은 ‘안전 장치’를 강조하고 있다. 투자처 선정 초기 단계에 ‘협의위원회’를 통해 일본 정부도 심사에 참여한다는 것이다. 미국 쪽은 이를 ‘미·일 사업 공동 설계’라고 표현하고 있다. 러트닉 장관은 사업에서 발생한 이익으로 “일본 쪽이 원금과 이자 전액을 회수할 수 있어 부담이 가지 않는다”며 “(미국) 정부 사업에 투자해 자본 손실 위험은 제로(0)”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투자금 회수 때까지 이익을 50%씩, 이후에는 미국이 90%를 챙기는 방식에는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후략 ..
(출처: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225988.html)
| 20대 직원 '과로사 의혹' 런던베이글뮤지엄.. 노동부 기획감독 착수 (0) | 2025.10.29 |
|---|---|
| 페루, K2 전차·K808 장갑차 145대 직도입 후 285대 현지 생산.. 현대로템 2억7000만 달러 투자 (0) | 2025.10.29 |
| 인기 빵집 '런던베이글뮤지엄' 청년 주임의 죽음.. 유족 "주 80시간 근무 과로사" (0) | 2025.10.29 |
| '청산가리 막걸리 살인' "검찰이 조작 수사".. 15년 만에 무죄 (0) | 2025.10.29 |
| "프로야구 흥행하는데 왜 티켓베이가 돈 버냐" 일갈한 與의원 (0) | 2025.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