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국제결제은행(BIS)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3분기 말 원화 기준 비금융부문 신용은 6222조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약 250조원(4.1%), 전 분기보다 약 55조원(0.9%) 늘어난 규모다.
경제 주체별로는 기업부채 2798조 원, 가계부채 2283조 원, 정부부채 1141조 원 등이다.
비금융부문 신용은 국가 간 비교를 위해 자금순환 통계를 바탕으로 주요 경제 주체인 가계와 기업,정부부채를 합산한 금액으로, 국가총부채 또는 총부채로 부른다.
우리나라 국가총부채 규모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지난 2021년 1분기 말 5천조 원을 넘어섰고,이후 계속 증가해 2023년 4분기 말 6천조 원을 돌파했다.
부문별 부채 흐름을 보면 정부부채의 비중이 가장 낮았지만, 최근 증가율은 가장 높았다.
정부부채는 2023년 3분기 말 1020조 원에서 지난해 3분기 말 1141조 원으로 1년 사이 120조 원(11.8%)이나 늘어났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다소 줄어드는 흐름이다.
지난해 3분기 말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47.2%로, 지난 2021년 2분기 말(247.0%) 이후 최저 수준이다.
가계부채 비율도 2023년 3분기 말 94.5%에서 지난해 3분기 말 90.7%로 4분기 연속 줄었다. 2020년 1분기 말 90.0%를 기록한 이후 최저치다.
.. 후략 ..
입주완료 앞둔 둔촌주공에 날벼락.. “아파트·상가 가압류할 것” (0) | 2025.03.23 |
---|---|
미 연준, 금리 4.25~4.50%로 동결.. "경제 불확실성 증가" (0) | 2025.03.20 |
HBM 선두 굳히는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12단 샘플 공급 (0) | 2025.03.19 |
미국, ‘소고기 대란’ 직면.. 트럼프의 수입 농축산물 관세가 불러온 충격 (0) | 2025.03.19 |
초유의 코스피 셧다운.. 한국거래소 내부 전산엔진 장애 추정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