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2년 3분기 전 세계 DRAM 매출 30% 감소..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전례 없는 일

ICT Info./01. Industry 정보/소식

by 개벽지기 2022. 11. 17. 16:15

본문

반응형

글로벌 시장정보업체 트렌드포스(TrendForce)는 3분기 D램 업계 전체 매출이 181억90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28.9%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감소폭은 세계 경제가 금융위기로 흔들렸던 2008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것이다.

3·4분기 D램 시장 상황과 관련해서는 가전 수요 위축이 지속되면서 QoQ 계약가격 하락폭이 10~15%대로 확대됐다.

다른 유형의 D램 제품 출하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던 서버 D램 출하량도 바이어들의 재고 수준 조정이 시작되면서 전분기 대비 눈에 띄게 둔화됐다.

 

개별 D램 공급업체의 3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상위 3개 공급업체(삼성, SK하이닉스, 마이크론)가 모두 분기 실적 하락을 보였다.

삼성전자는 74억 달러, 전분기 대비 33.5% 감소한 실적을 기록해 상위 3개사 중 가장 큰 폭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전분기 대비 25.2% 감소한 52억4000만 달러 안팎을 기록했다.

마이크론의 경우, 매출은 약 48억 1천만 달러에 달했다.

마이크론은 분기별로 표시를 달리해 D램 ASP가 두 한국 공급업체보다 감소폭이 작았다.

그리고 그 결과 마이크론의 QoQ 수익 감소폭도 상위 3개 중 가장 작았다.

트렌드포스는 현재도 상위 3개 업체가 비교적 높은 영업이익률을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럼에도 올해부터 시작된 재고 조정 기간은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수익에 대한 압박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협력사들의 용량 확대 계획을 주제로 삼성전자는 최근 카메라 모듈 수요 감소로 기존 웨이퍼 처리 능력을 D램에서 CMOS 이미지 센서로 옮기는 작업을 점차 늦추고 있다.

삼성은 내년에 새로운 팹 P3L이 가동에 들어가면서 D램 생산능력을 높일 예정이다.

다만 재고 감소가 당초 예상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는 점을 감안해 생산량 증가를 제한하기 위해 기술 이전 속도를 늦출 예정이다.

SK하이닉스는 내년에도 기술이전에 제동을 걸어 생산량 증가를 억제할 계획이다.

마이크론으로 넘어가면서 1베탄 공정으로 양산 일정을 미뤘다. 이러한 연기는 이 기술의 개발에 대한 높은 난이도와 일반적인 수요 부진과 관련이 있다.

마이크론의 2023년 생산량 증가율은 상위 3위 중 가장 작을 것으로 전망된다.

나아가 트렌드포스는 마이크론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이익률에 대응해 보다 가시적인 감산을 단행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대만에 본사를 둔 D램 공급업체와 관련해 난야는 3분기에 40.8%에 달하는 등 6대 공급업체 중 가장 큰 분기 매출 감소를 겪었다.

Nanya의 결과는 제품 믹스에서 소비자 D램의 상당한 점유율과 고객 기반에서 중국 본토 고객의 상당한 점유율 덕분이었다.

이번 4분기에 진출한 난야는 이미 웨이퍼 투입 규모를 축소했지만 1A nm로의 전환 속도는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Nanya의 고객들이 신중한 수요 전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진보된 프로세스를 채택하는 것을 열망하지 않기 때문에 2023년에도 여전히 고객 샘플 단계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1Anm 공정은 2024년까지 난야의 생산량에 눈에 띄는 기여를 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PSMC로 눈을 돌리면 소비자 D램 가격 급락으로 3분기 매출이 40.0%가량 감소했다.

여기에 제시된 PSMC의 D램 매출은 주로 자체 제조된 브랜드 DRAM 제품의 판매와 관련이 있으며 D램 파운드리 서비스는 제외된다.

그러나 D램 파운드리 서비스를 계산에 포함할 경우 QoQ 하락폭은 22.9%였다.

마지막으로 윈본드를 살펴보면, 상당히 보수적인 가격 전략에도 불구하고 3분기 매출은 여전히 37.4%의 상당한 감소를 보였다.

이것은 그것의 선적이 상당히 위축된 것과 관련이 있다.

윈본드는 이미 지난 3분기 타이중 팹 가동률을 낮췄다. 가오슝 신규 팹 설치에 대해서는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아 양산 단계 진입 일정이 다소 늦춰졌다.

가오슝 팹은 우선 25Snm 공정을 이용해 D램을 생산할 예정이다. 이는 2H23에서 공급업체의 20nm 공정의 배치에 따른 것으로 예상된다.

 

*** 자동 번역본으로 오역과 의역이 있을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출처 링크의 원문을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 https://www.techpowerup.com/301156/global-dram-revenue-down-30-in-3q22-unprecedented-since-2008-financial-crisis)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